구명유래

드론으로 촬영한 하늘에서 본 영도구 모습
영도구 영도의 원래 이름은 절영도(絶影島)였다.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천리마가 빨리 달리면 그림자가 못따라 올 정도라 하여 끊을 절(), 그림자 영()을 붙여 절영도라 불려졌다.

뭍에는 사나운 짐승들이 서식하고 있어 항상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었으나 이 곳 영도는 섬이기 때문에 맹수들이 없어 안전하였고, 또한 먹이(조개, 생선, 열매)를 구하기 좋았고 기후가 따뜻하여 살기에 알맞은 곳이었으며, 신라시대부터 조선조 중기까지는 목장으로 말을 방목한 곳으로 유명하다.

영도는 육지와 인접한 섬으로 말을 방목하기에 적당한 지리적 조건을 갖고 있어 예로부터 나라에서 경영하는 국마장(國馬場)이 있었으며 명마들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삼국사기열전」 김유신의 조항을 보면 신라 33대 성덕왕이 삼국통일을 이룬 김유신의 공을 되새겨 김유신의 적손(嫡孫) 김윤중에게 절영도 명마 한 필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서도 후백제의 왕인 견훤이 절영도 명마 한 필을 고려 태조인 왕건에게 선물한 일을 기록하고 있다. 일제시대에서도 영도를 「마키노시마(牧島)」라고 하였는데 일본어로 "말먹이는 목장의 섬"이란 뜻이다. 해방 후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이름 "절영도"를 줄여서 현재의 "영도"로 부르게 되었다.

영도는 신석기 시대의 동삼동 패총, 영선동 패총 등으로 보아 부산지방에서 가장 먼저 사람이 살기 시작했던 곳이라 추정된다. 패총이란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질이 쌓여 생긴 것인데 그 속에는 여러가지 사람들이 쓰던 유물이 썩지 않고 잘 남아 있어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 고장 영도는 선사시대에 여러가지 생활 여건이 당시로는 사람살기에 가장 알맞은 곳이었다.


담당자 :
문화관광과 051-419-4041
최근업데이트 :
2024-01-19 11:12:58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